본문 바로가기
건강한 세무회계/회계

재무회계 이론(부채회계) 요약정리

by 생활력갑 2023. 1. 6.
반응형

9. 부채회계

부채의 정의 ㉠ 과거거래나 사건의 결과이다
㉡ 기업실체의 현재의 의무이다
㉢ 미래경제적효익이 있는 경제적자원 유출된다
부채인식기준 ㉠ 미래경제적효익이 유출가능성이 높다
㉡ 금액을 신뢰성있게 측정가능하다.

 1)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

  (1) 유동부채 : 매입채무, 단기차입금, 미지급금, 충당부채, 기타부채

   ① 정상적인 영업주기내 결제 되는 부채

   ② 단기매매목적으로 보유

   ③ 보고기간후 12개월 이내 결제되는 부채

   ④ 보고기간후 12개월 이상 결제기한을 연기할 수 있는 무조건적인 권한이 없는 부채

 

  (2) 비유동부채 : 사채, 장기차입금, 퇴직급여부채, 충당부채, 이연법인세부채, 기타부채

 

 2) 금융부채와 비금융부채

  (1) 금융부채

   ① 부채의 정의를 충족하는 계약상 의무

   ② 현금 또는 자기지분상품 등 금융자산으로 결제되는 부채

   ③ 매입채무, 미지급금, 차입금, 사채 등

 

  (2) 금융부채의 분류

   ①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: 공정가치 평가 및 공정가치변동분을 당기손익에 반영

    ㉠ 당기손익인식지정금융부채 : 최초인식시점에 공정가치 변동분을 당기손익인식으로 지정한 금융부채

    ㉡ 단기매매금융부채 : 단기적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매매한 금융부채(금융기관)

   ② 기타금융부채

    ㉠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를 제외한 금융부채

    ㉡ 매입채무, 미지급금, 차입금, 사채 등

 

  (3) 금융부채의 회계처리

구분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기타금융부채
1. 최초 측정 공정가치, 거래원가는 당기비용 처리 (공정가치 - 거래원가)
2. 후속 측정 공정가치 (공정가치 변동분 당기손익 처리) 상각후 원가

 

 3) 확정부채와 충당부채

  (1) 확정부채

   ① 재무상태표일 현재 부채의 존재, 지급금액과 지급시기가 확정적으로 존재하는 부채

   ② 매입채무, 차입금, 미지급금, 사채 등

 

  (2) 충당부채

   ① 재무상태표일 현재 부채의 존재 및 지급금액, 지급시기등이 비확정적인 부채.

   ② 제품보증충당부채, 경품충당부채, 반품충당부채, 복구충당부채, 채무보증충당부채 등

 

  (3) 충당부채의 인식조건

   ① 과거거래나 사건의 결과로 현재 지급의무가 존재 한다

   ② 당해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다

   ③ 의무 이행에 소요되는 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다.

   ④ 제품보증충당부채, 경품비충당부채, 복구충당부채등

   ⑤ 사용시기에 따라 유동부채 또는 비유동부채로 분류

 

 (4) 제품보증충당부채

  설 정 액 ××× (매출액×총보증비율)

  지 출 액 ×××

  기 말 잔 액 ×××

 

  (5) 경품충당부채

  회수가능쿠폰 ××× (총발행쿠폰수 × 회수가능율)

  회수완료쿠폰 ×××

  미회수쿠폰 ××× (경품충당부채설정액)

 

 4) 우발손실과 우발이익

① 우발손실의 회계처리 금액을 신뢰성있게 측정 가능 금액을 신뢰성있게 측정 불가
자원의유출가능성 높다 충당부채 인식 우발부채 : 주석공시
어느정도있다 우발부채 : 주석공시 우발부채 : 주석공시
낮다 공시 하지 않음
② 우발이익의 회계처리 금액을 신뢰성있게 측정 가능 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 불가
자원의유입가능성 높다 주석으로 공시 한다
어느정도있다 공시하지 않는다

 

 5) 사채의 회계처리

  (1) 사채의 발행과 이자율

   ① 할증발행 =(액면이자율>시장이자율) : (액면가액 < 발행가액)

   ② 액면발행 =(액면이자율=시장이자율) : (액면가액 = 발행가액)

   ③ 할인발행 =((액면이자율<시장이자율) : (액면가액 > 발행가액)

 

  (2) 사채 발행가액 계산 및 회계처리

   ① 발행가액=현재가치=(액면가액×현재가치)+(액면이자×연금의현재가치)

   ② 사채발행에 대한 제비용은 사채 발행가액에서 차감한다.

  (차) 현 금 ×××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대) 사 채 ×××

       (사채할인발행차금) ×××         (사채할증발행차금) ×××

 

  (3) 이자지급 시 회계처리

  (차) 이 자 비 용 ×××               (대) 현 금 ×××

        (사채할증발행차금) ×××        (사채할인발행차금) ×××

   ① 액면이자=표시이자=명목이자=(액면가액×액면이자율)

   ② 유효이자=실질이자=시장이자=(장부가액×유효이자율)

   ③ 사채발행차금 상각액 =(유효이자-액면이자)

구분 할인발행 액면발행 할증발행
발행조건 액면이자율이 낮다 액면이자율 = 유효이자율 액면이자율이 높다
평가계정 사채할인발행차금 - 사채할인발행차금
총이자비용 (액면이자+사채할인발행차금) 액면이자=유효이자 (액면이자-사채할증발행차금)
장부가액 장부가액과 이자비용
점차증가.
장부가액 및 이자비용은 일정. 장부가액과 이자비용
점차 감소.
발행차금 사채할인발행차금
상각액 증가
- 사채할증발행차금
환입액 증가

 

  (4) 사채의 상환

   ① 만기상환 : 액면가액으로 상환되므로 상환손익이 발생하지 않는다.

    (차) 사 채 ××× (대) 현 금 ×××

   ② 조기상환 : 사채상환손익을 계상하여야 한다.

   상 환 가 액 ××× : 상환순액

(-)장 부 가 액 ××× : (기초장부가액+유효이자-액면이자)

사채상환손익 ×××

 

 6) 종업원급여 종업원의 근로제공에 대하여 기업이 제공하는 모든 대가

① 단기종업원급여 : 근무용역제공 회계기간말로부터 12개월이내 지급기일 도래

 (임금+상여+이익분배금+단기유급휴가+비화폐성자산(주택, 자동차 등)

② 장기종업원급여 : 근무용역제공 회계기간말로부터 12개월이내 지급기일이 도래하지 않는 급여

(장기근속급여+장기유급휴가+장기이익분배금+상여금 등)

③ 해고급여 : 기업결정에 의한 해고 또는 자발적 명예퇴직 종업원에 대한 급여 (해고수당, 해고급여 등)

④ 퇴직급여 : 종업원이 퇴직한 이후에 지급하는 종업원급여 (퇴직연금, 퇴직일시금 등)

 

  (1) 퇴직급여제도

   ① 확정기여제도 특정실체(기금, 보험회사)에 확정된 기여금 납부. (기업의무 종결)

기업 금융기관 퇴직자
(차)퇴직급여 ××× (대) 현 금 ×××   보험수리적위험(기대급여⇎ 실제퇴직급여) 투자위험부담(지급자금부족위험)

 

  ② 확정급여제도 기업이 퇴직급여에 대한 모든 의무 부담

금융기관
(사외적립)
기업
(퇴직급여지급)
퇴직자
㉠매결산시 : (차) 퇴직급여 ×××          (대) 확정급여채무 ××× (당기근무원가+이자비용, 현재가치)
㉡사외적립 : (차) 사외적립자산 ×××   (대) 현 금 ×××
㉢투자수익 : (차) 사외적립자산 ×××   (대) 퇴 직 급 여 ××× (실제수익 vs 기대수익)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보험수리적손실 ×××) (보험수리적이익×××)
㉣퇴직급여 지급시 : (차) 확정급여채무 ××× (대) 사외적립자산 ×××

F/P 표시 퇴직급여부채     I/S 표시 퇴직급여

확정급여채무 ×××            당기근무원가 ×××

사외적립자산 (×××)                 이자비용 ×××

퇴직급여부채 ×××                  기대수익 (×××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퇴직급여 ×××

 

 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