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건강한 세무회계/회계

재무회계 이론(재고자산) 요약정리

by 생활력갑 2023. 1. 6.
반응형

5. 재고자산

 ① 판매목적보유 : 제품, 상품

 ② 생산중인자산 : 반제품, 재공품

 ③ 생산 및 용역제공사용 : 원재료, 저장품

기말재고자산 = 실제재고 + 보관상품 + 적송품 + 시송품 + 미착상품 + 반품조건부판매

 

 1) 재고자산의 취득원가 =매입원가 + 전환원가 + 기타원가

  ① 매입원가=매입가격+제세공과+운송비+하역비-(매입에누리와환출+매입할인)

  ② 제조원가=재료비+노무비+변동제조간접비+고정제조간접비

  ▶비정상적으로 소비된 경제가치, 보관, 판매과정 및 관리상 소비된 가치는 취득원가에 포함되지 않는다.

  ▶용역제공기업의 재고자산은 재공품으로 분류하고 제조원가로 측정한다.

  ▶생물자산 수확하는 농림어업의 수확물은 수확시점의 순공정가치로 측정한다.(공정가치-판매비용)

 

 2) 상품의 매입 매출 시 회계처리

  ① 상품매입 시 : 매입제비용 : 취득원가에 가산된다.

  (차) 매 입 ××× (대) 외상매입금 ×××

  ② 매입에누리와 환출, 매입할인 : 매입액 및 외상매입금에서 차감한다

  (차) 외상매입금 ××× (대) 매 입 ×××

  ③ 매출제비용 : 당기비용으로 처리 된다

  (차) 외상매출금 ××× (대) 매 출 ×××

  ④ 매출에누리와 환입, 매출할인 : 총매출액 및 외상매출금에서 차감한다

  (차) 매 출 ××× (대) 외상매출금 ×××

  ▶계속기록법 : 매출 시 매출원가 계상

 

 3) 매출총이익 계산 절차

  ① 매출총이익 = 순매출액-매출원가

  ② 순매출액 = 총매출액-매출에누리와 환입 매출할인

  ③ 매출원가 = 기초상품+순매입액-기말상품

  ④ 순매입액 = 총매입액-매입에누리와 환출 매입할인

 

 4) 재고자산과 매출원가 및 매출총이익의 관계

구분 매출원가 매출총이익
기말재고자산 역관계 정관계
기초재고자산 및 매입액 정관계 역관계

 

 5) 재고자산의 원가배분

  (1) 수량결정방법

구분 계속기록법 실지재고조사법 혼합법
장점 ① 신속 편이한 재고수량 파악
② 매출시 매출원가 및 매출이익 계산
① 정확한 기말수량 확인 재고자산감모손실 계상
단점 ① 기말상품수량 과대계상 가능성 ① 매출원가 과대 계상 가능성 계상
② 결산 시 매출원가 및 매출이익 
등식 판매가능수량-매출수량=기말수량 판매가능수량-기말수량=매출수량

(2) 원가흐름의 가정의 비교

구분 선입선출법 평균법 후입선출법
이동평균법 총평균법
장점 ① 일반 물량 흐름과 일치
② 이익조작가능성이 적다
① 평균단가=(판매가능액/판매가능수량)
② 평균단가계산시점
 ㉠ 이동평균법 :상품매입시점
 ㉡ 실 사 법 :결산시점(일정기간)
① 보수적인방법
② 합리적인수익비용대응
③ 손익계산서중시
단점 ① 매출원가 과소계상가능성
② 이익과대계상가능성
③ 비합리적인수익비용대응
① 일반물량흐름과 반대
② 이익과소계상가능성
③ 이익조작 가능성
기말상품 현행원가 기말수량*평균단가 과거원가
매출원가 과거원가 매출수량*평균단가 현행원가
수량계산 계속기록법=실사법
결과가 동일하다.
계속기록법 실사법 계속기록법과 실사법의
결과가 서로 다르다.

▶개별법 : (계속기록법=실사법) 이론상 우수한방법, 실질적인적용곤란, 이익조작가능성

▶후입선출법 : (K-IFRS에서 사용이 인정되지 않는다)

 

 6) 기말재고자산크기

  ① 기말재고자산=당기순이익=법인세비용 : 선입선출법 > 이동평균법 > 총평균법 > 후입선출법

  ② 매출원가크기=현금흐름크기 : 선입선출법 < 이동평균법 < 총평균법 < 후입선출법

 

 7) 매출가격환원법

  ① 기말상품재고액 = 기말상품 매가 * 원가율

  ② 원가율계산

   ⓐ 평균법 = (판매가능상품원가)/(기초상품매가+매입상품매가+순인상-순인하)

   ⓑ 선입선출법 = (매입상품원가/매입상품매가+순인상-순인하)

  ③ 기말상품 매가 : (기초상품매가+매입상품매가+순인상)-(순인하+순매출액)

  ④ 저가기준의 원가율

 

 8) 매출총이익율법

  ① 판매가능상품=기초상품+순매입액

  ② 매출원가 =(매출액*원가율) : 매가에 대한 이익율

      매출원가 =매출액/(1+이익율) : 원가에 대한 이익율

  ③ 기말재고추정액=판매가능상품-매출원가

 

 9) 재고자산평가손실 과 재고자산감모손실

구분 재고자산평가손실 재고자산감모손실
의의 저가법 평가에 의한 순실현가치 하락 손실 재고자산 보관 중 수량부족으로 인한 손실
계산 실제재고액-순실현가치
(취득원가-순실현가치)*실제수량
장부재고액-실제재고액
(장부수량-실제수량)*취득원가
시가 순실현가치(예상판매가격-예상판매비용) 단, 재료의 시가는 현행대체원가이다.
회계처리 (차) 재고자산평가손실 *** (대) 재고자산평가충당금a/c *** (차) 재고자산감모손실 *** (대) 재고자산 ***
환입 ① 시가 회복 시 평가손실 환입.
② 최초 장부가액 한도(취득원가)
-
저가법 종목별, 조별로 적용한다.
총액기준은 적용할 수 없다.
-
기말재고 기말재고자산 =실제수량*min(원가, 순실현가치) : 저가법
매출원가=(기초상품+순매입액)-기말재고-비정상감모손실

▶재고자산평가충당금a/c은 차감적평가계정이다.

▶장부재고액=(장부수량*원가), 실제재고액=(실제수량*원가), 순실현가치=(실제수량*순실현가치)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