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2. 회계변경과 오류수정
* 회계변경
① 회계정책의 변경 : 재무제표 작성 표시를 위한 회계원칙 변경(기업회계기준서, 해석서, 실무지침)
② 회계추정의 변경 : 회계 상 추정치의 변경
1) 회계정책의 변경
(1) 회계정책변경 요건
① 기업회계기준에서 회계정책의 변경을 요구하는 경우
② 회계정책의 변경을 반영한 재무제표가 거래 기타 사건 또는 상황이 재무상태, 경영성과 또는 현금흐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신뢰성 있고 더 목적적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
(2) 회계정책변경의 유형
① 유형자산 : 원가모형 ↔ 재평가모형
② 투자부동산 : 원가모형 ↔ 공정가치모형
③ 보험수리적손익 : 확정급여 조정항목 ↔ 이익잉여금대체
④ 재고자산 단가결정 방법 : 선입선출법 ↔ 가중평균법
(3) 회계정책의 변경에 해당하지 않는다.
㉠ 과거에 발생한 거래와 실질이 다른 거래 기타 사건 또는 상황에 대하여 다른 회계정책을 적용하는 경우 ㉡ 과거에 발생하지 않았거나 발생하였어도 중요하지 않았던 거래 기타 사건 또는 상황에 대하여 새로운 회계정책을 적용하는 경우
(4) 회계정책변경의 회계처리
① 원칙 : 소급법 : 회계정책변경의 누적효과 → 전기이월이익잉여금 대체
② 예외 : 전진법 : 회계정책변경의 누적효과를 산정하기 곤란한 경우
2) 회계추정의 변경
① 새로운 정보의 획득, 새로운 상황의 전개 등으로 회계적 추정치 변경
㉠ 대손예상율 변경
㉡ 품질보증비율 변경
㉢ 금융자산이나 금융부채의 공정가치 추정
㉣ 감가상각 자산의 내용연수
㉤ 감가상각자산에 내재된 미래경제적효익의 기대소비
② 회계추정의 변경효과에 대한 회계처리 : 손익처리
㉠ 변경이 발생한 기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변경이 발생한 기간
㉡ 변경이 발생한 기간과 미래기간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변경발생기간과 미래기간
③ 회계정책의 변경과 회계추정의 변경의 구분이 어려운 것은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본다.
④ 선 회계정책의 변경 후 회계추정의 변경
3) 오류수정
회계오류의 유형 ㉠ 산술적 계산오류, ㉡ 회계정책의 적용오류, ㉢ 사실의 간과, 해석의 오류 ㉣ 부정 등 |
당기순이익에 영향을 주는 오류 |
자동 조정형 오류 (2회계기간 경과시 자동적 수정) |
① 재고자산오류 ② 선급비용, 미수수익 계상 오류 ③ 미지급비용,선수수익 계상 오류 ④ 매출액 및 매입액 계상 오류 |
비자동조정형 오류 | ① 감가상각비 계상 오류 ② 자본적지출 및 수익적지출 오류 |
||
당기순이익에 영향이 없는 오류 |
재무상태표형 오류 손익계산서형 오류 |
계정과목분류의 오류 |
회계처리
① 원칙 : 소급법 : 전기오류수정손익 →전기이월이익잉여금 대체
② 예외 : 오류효과를 결정 할 수 없는 경우 전진적으로 오류를 수정한다.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