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. 표준원가계산
표준원가는 과학적이고 통계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품 제조 전에 설정된 제품제조원가이다.
① 원가관리 및 통제에 유용한 원가계산제도이다.
② 조업도 변화 및 계절적인 요인 등에 대하여 제조원가가 평균화 된다.
③ 제품제조원가 계산이 신속하고 간편하다.
④ 예산편성 및 경영계획 수립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한다.
⑤ 재무제표 작성에 원가정보를 제공한다.
1) 표준원가의 설정
표준원가 = 표준재료비 + 표준노무비 + 표준제조간접비
① 표준재료비 | 제품단위당 표준재료수량 × 재료단위당 표준가격 |
② 표준노무비 | 제품단위당 표준직접노동시간 × 시간당 표준임율 |
③ 표준제조간접비 ㉠ 표준변동제조간접비 ㉡ 표준고정제조간접비 |
표준변동제조간접비 + 표준고정제조간접비 단위당 표준조업도 × 표준배부율 단위당 표준조업도 × 예정배부율 |
2) 원가차이분석
원가차이분석은 원가요소별로 이루어지며, 원가차이에 대한 원인과 책임을 규명하여 원가관리 자료로 이용된다. 원가차이는 다음과 같이 원가요소별 표준원가와 실제발생원가의 차액이다.
① 표준원가 > 실제발생원가 : 유리한차이 (F, favorable variance)
② 표준원가 < 실제발생원가 : 불리한차이 (U, unfavorable variance)
회 계 처 리 | 유 리 한 차 이 | 불 리 한 차 이 |
① 매출원가처리법 | 매출원가에서 차감 | 매출원가에 가산 |
② 영업외손익처리법 | 당기수익처리 | 당기비용처리 |
③ 비례배분법 | 매출원가와 재고자산에서 차감 | 매출원가와 재고자산에 가산 |
3) 원가요소별 차이분석
(1) 재료원가 차이
표준재료원가 〓 표준소비수량 × 표 준 가 격
(-)실제재료원가 〓 실제소비수량 × 실 제 가 격
재료원가차이 수 량 차 이 가 격 차 이
① 재료원가 차이를 재료 소비시점에서 분리하는 경우
◆가격차이=(표준가격-실제가격)×실제소비수량
◆능률차이=(표준수량-실제수량)×표준가격
◆재료구입가격차이=(표준가격×실제구입가격)×실제구입수량 (전체구입가액에 대하여 신속한 가격차이 분리)
② 재료원가 차이를 재료 구입시점에서 분리하는 경우
(2) 노무원가 차이
◆임율차이=(표준임율-실제임율)×실제시간
◆능률차이=(표준임율-실제임율)×표준시간
(3) 변동제조간접원가 차이
(4) 고정제조간접원가 차이
댓글